춘원당 상담실
170년 역사와 전통이 있는 춘원당이야기를 이제 시작합니다

춘원당건강백과

내분비내과 [비뇨기질환] 요실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춘원당 댓글 0건 조회 3,348회 작성일 13-10-11 14:00

본문

요실금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소변이 요도 밖으로 새어나오는 증상이다. 정상적인 배뇨는 방광 내에 적당량의 소변이 모이면 이후 요도괄약근의 이완과 방광배뇨근의 수축으로 이루어지는데,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방광 내부의 압력이 요도의 저항보다 높아지면 요실금이 발생한다. 비록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은 아니지만, 환자는 수치스러워하며 삶의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

요실금은 크게 복압성, 절박성, 혼합성, 일류성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류성 요실금은 배뇨근 수축에 의한 배뇨가 불가능해져서 이완된 방광의 용적을 넘어가 소변이 소량으로 지속적으로 흐르는 것을 말한다.
복압성 요실금은 여성 요실금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기침· 재채기· 운동· 폭소 등 복압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소변이 새어나는 것이다. 주로 분만 경험이 많은 중년 이후의 여성에서 골반의 지지조직이나 방광경부와 요도를 지지하는 근육이 약해져서 생긴다.
절박성 요실금은 방광내의 소변량에 관계없이 갑자기 참을 수 없을 정도의 요의를 느껴서 제때 화장실을 찾지 못하여 소변이 누출되는 것이다. 원인 불명의 방광 배뇨근의 불안정과 과민성 때문에 발생하는데, 뇌경색· 다발성 경화증 등의 신경 질환 및 급만성 요로감염, 방광암, 최근에 전립선절제술을 시행 받은 경우에 발생한다.

치료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는 비수술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으로 나뉘는데 비수술적 요법 중 대표적인 방법은 케겔 운동법이다. 케겔 운동법은 소변이나 대변을 참듯이 힘을 준 후 3초간 유지하고 3초간 휴식하는 과정을 5분간 계속하는 것인데, 1일 3회 정도 지속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약물요법으로는 알파아드레날린 제제와 에스트로겐 제제가 많이 사용된다. 수술요법으로 최근에 방광경부로부터 중부요로까지의 요도괄약근을 지지해주는 슬링 수술, 장력이 없는 질 테잎으로 중부 요도를 걸어주는 수술 등이 흔히 시술된다.
절박성 요실금에서도 방광훈련과 케겔 운동 등의 행동요법이 사용된다. 방광 훈련은 소변을 보고나서 목표 시간을 정한 후 소변 누출이 일어날지라도 목표 시간 전에는 화장실 사용을 금하고 1시간 후 소변을 보는 것이다. 규칙적인 배뇨습관이 정착되도록 이를 반복훈련하고 시간을 차츰 늘려 최종적으로 배뇨주기가 3시간이 되도록 한다. 약물 요법으로 항콜린성 제제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약물 요법은 증상만을 호전시키므로 장기간, 때에 따라서 평생 복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부작용으로 구강건조· 변비· 속쓰림· 시야 흐림 등이 일어날 수 있다.

한의학적으로 뇨실금은 방광의 기운이 약해 충분히 소변을 잡지 못하는 경우나, 오래된 병이나 과로 스트레스 등으로 脾肺가 손상되어 氣가 虛해진 경우나, 下焦 비뇨생식기가 虛寒해진 경우나, 肝氣가 疏泄 기능을 실조하는 경우 등으로 나눠 접근한다. 이러한 병인들을 감별하고 각 환자의 체질에 맞춰 한약과 침구 치료를 시행한다면 양호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만 虛損이 비교적 심하고, 요실금과 함께 요로감염을 겸한 경우에는 장기간 치료를 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