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소개
170년 역사와 전통이 있는 춘원당이야기를 이제 시작합니다

보조약 안내

본원에서는 아래와 같은 보조약을 통해 질환 치료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환자분의 체질과 의사의 진단에 따라 적응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공진단(拱辰丹)

공진단은 예로부터 한방에서 최고로 여기는 보양약입니다. 침향(沈香)·사향(麝香)·녹용(鹿茸)·산수유(山茱萸) 등의 귀한 한약재로 빚어 만듭니다. 탈진되었을 때에는 급히 보해주는 구급약으로, 평시에는 심장의 화기(火氣)를 내리고 신장의 수기(水氣)를 올림으로써 양기(陽氣)를 보해주는 강장제로 써왔습니다. 또한 근골을 강하게 하고, 기혈과 경맥을 통하게 하며, 특히 노약자, 수험생, 여행 중에 복용하시면 효과가 좋습니다.
습관성이나 부작용이 없으며 체질에 상관없이 드실 수 있습니다. 춘원당한방병원에서는 가장 좋은 품질의 천연 사향과 침향으로 공진단을 만들고 있습니다.

공진단(拱辰丹) 복용방법
  • 환약 케이스의 가운데 봉합부분을 눌러 여신 후 금박 채 드십시오.

  • 하루에 한 알씩 생수와 함께 드십시오.

  • 어린이나 소화·흡수가 잘 안되시는 분은 반 알씩 드셔도 됩니다.

  • 한약과 함께 드실 때에는 한 시간의 간격을 두고 드십시오.

사향 안심원(麝香 安心元)

사향 안심원은 정신적으로 불안정할 때, 조울증 등 신경정신과 질환, 불면증, 심장병, 치매,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답답한 증에 빠른 효과를 보기 위해 쓰는 구급약입니다. 또한 집중력을 증강시키고 마음을 안정시키기 때문에 수험생이나, 불안, 초조하고 산만한 성향의 학생들에게도 쓰이고 있습니다. 주성분은 청심원과 마찬가지로 우황과 사향인데 저희 춘원당 한의원에서는 안심원 역시 최고 품질의 천연 우황과 진품 사향을 써서 부속 제환실에서 정성껏 만들고 있습니다.
복용 방법은 증상이 있을 때에는 부정기적으로 드시면 되고 치료 목적으로 쓰실 때에는 하루에 1~2알을 정기적으로 공복에 생수와 함께 드시면 됩니다. 안심원을 드실 때에는 양약과 동시에 드시지 않는 것이 좋으며 양약을 복용 중이시라면 1시간의 간격을 두고 드시기 바랍니다. 또한 환자가 의식이 없어서 본인이 스스로 약을 삼키지 못하면 억지로 먹이지 마십시오.
이밖에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저희 한의원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황 청심원(牛黃 淸心元)

우황 청심원은 수백 년 전부터 위급 시에 가장 빨리 효과를 볼 수 있는 구급약으로 써왔으며 고혈압, 중풍, 순환장애로 인한 마비증 등에도 꾸준히 쓸 수 있는 대표적인 한방약입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뇌졸중으로 인한 후유증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해 정신이 맑지 못하고 말이 어둔하며 손발에 힘이 없을 때에도 쓴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만성두통, 구안와사, 급체,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발열 등에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저희 한의원에서는 가장 좋은 품질인 천연 우황과 진품 사향을 써서 한방병원 내에 위치한 부속 제환실에서 정성을 다해 만들고 있습니다. 또한 정제된 수비 경면 주사를 쓰고 있기 때문에 장기가 복용해도 부작용이나 습관성이 없습니다.
우황 청심원은 상기 증상이 있을 때 생수와 함께 드시는 것이 좋으며 되도록 공복에 복용하십시오.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하루에 1~2알을 드실 수 있습니다. 또한 청심원을 드실 때 양약과 동시에 드시지 않는 것이 좋으며 양약을 복용하시는 중이라면 1시간의 간격을 두고 드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환자가 의식이 없어서 본인이 스스로 약을 삼키지 못하면 억지로 먹이지 마십시오.
이밖에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저희 한의원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보조약 안내

제형별 보조약 및 주요 치료 질환
원·단제: 큰 알약
공진단 급격한 체력저하, 만성피로, 집중력 강화를 필요로 할 때
사향안심원 심장 관련 질환, 경기, 불안, 초조, 놀랐을 때
우황청심원 고혈압, 중풍, 두통, 순환장애
보간원 숙취 예방 및 해소, 간 해독, 지방간, 급만성 간염
보위원 소화불량, 위장 질환
환제: 작은 알약
녹용대보환 식욕부진, 피로감
보골환 관절이 통증, 부종, 뼈의 노화 및 악화 방지, 어혈통, 요통, 견통
보궁환 난임, 생리불순, 생리통, 냉증
성장환 성장부진
수기환 비만, 체중과다, 식욕항진으로 음식절제를 못할 때
제통환 관절염, 요통을 비롯한 전신통증
청뇌환 수험생, 집중력이 저하될 때
치영환 갑상선결절, 갑상선기능저하증이나 항진증으로 인한 종대
통기환 변비, 하복부팽만감
보위환 소화불량, 위장 질환, 식욕부진
황연환 불면, 불안장애, 심장질환, 염증
엑기스제: 첩약을 조제하여 달인 후 동결건조한 가루약
강활탕 몸살감기, 두통, 오한, 관절통, 도한
귀비안면탕 불면증, 깊은 잠을 못잘 때
금교탕 목감기, 편도선염, 인후염, 발열
삼령탕 기침감기, 기침, 가래, 발열, 두통, 천식, 가슴답답증
소청탕 코감기, 비염, 축농증, 숨찬증상
어린이소청탕 코감기, 비염, 축농증, 중이염
피부소풍탕 아토피피부염, 피부소양증을 동반한 피부질환
어혈탕 어혈로 인한 내과질환, 타박상, 염좌, 어혈을 동반한 관절통
제적탕 통증, 사지관절통, 견통, 요통, 담이 걸릴 때
청상탕 두통감기, 편두통, 두중감, 집중력저하
평비탕 소화불량, 체기, 구역, 위산과다, 하복만통, 설사
해기탕 만성감기, 코건조증, 눈의 통증, 불면
해청탕 전신해독, 항생제 소염제 등 약부작용, 음주과다로 인한 주체
산제: 한약재를 분쇄한 가루약
견정산 안면신경마비, 안면근육경련, 삼차신경통
보장산 소화불량, 설사, 대장 질환
지혈산 각종 출혈성 질환, 대변혈, 코피, 토혈
해소산 가래, 기침, 천식
태풍산 뇌성마비, 중풍
감비산 비만, 고지혈증, 변비
탕제: 첩약을 달여서 추출한 액체약
쌍화탕 감기예방, 피로, 체력보강
생맥탕 갈증, 피로, 식욕저하(여름보약)
외용제
미용제 피부노화, 기미, 주근깨, 안면홍조
소종제 염좌나 타박으로 인한 부종, 어혈통
앵류제 갑상선질환으로 목이 부었을 때
백납고 백선풍(백납)
자운태열고 아토피피부염(태열)
청감고 통증완화에 사용하는 한방파스
고삼수 손발의 한포진, 만성습진
청열팩 아토피, 두드러기, 가려움증, 여드름
마윤고 태열, 피부염, 건선, 피부건조증
통비액스프레이 축농증, 비염에 쓰는 한방스프레이
소양수스프레이 가려움, 발적, 피부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