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검사 및 탕제실
170년 역사와 전통이 있는 춘원당이야기를 이제 시작합니다

춘원당 약초원

춘원당 약초원

춘원당에서는 품질 좋고 믿을 수 있는 한약재를 직접 공급받아 탕전실에서 달이기 위해 자체적으로 남양주 지역에 약초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모든 춘원당 약초원에서는 농약은 전혀 쓰지 않고 유기농 비료만으로 약초를 재배합니다.

또한 한약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생산 계획 단계부터 수확 후 포장에 이르기까지 약초원의 토양, 수질 등의 재배환경을 점검하고 약초에 잔류 할 수 있는 유해 생물 등의 위해 요소를 없애기 위해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춘원당에서는 앞으로도 믿을 수 있는 한약재, 순수한 자연을 담은 한약재를 처방에 사용할 것 입니다.

춘원당약초원에서는 아래와 같이 약초를 재배합니다.

  • 정확한 품종의 국산한약재의 종자를 선택합니다.
  • 한약재의 안전한 생산, 가공을 위해 환경 관리에 최선을 다합니다.
  • 토양 및 수질을 가장 좋은 상태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잔류농약이나 중금속에 대한 우려가 거의 없습니다.
  • 약초에 생길지도 모르는 병, 해충의 방제를 위해 수시로 관능검사를 합니다.
  • 약재 채취 후 완전 건조시킨 다음, 현대적이고 위생적인 설비를 갖춘 가공공장에서 절단합니다.
  • 생육과 수확 등의 모든 과정에서 샘플을 채취해 춘원당 한약재 품질검사실에서 이화학검사를 합니다.
  • 절단 후 춘원당 한약재 성분검사실에서 잔류 농약 중금속, 잔류 이산화황의 함유 여부를 조사, 분석합니다.
  • 본 약초원의 약재들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한약재 안전 및 품질 관리 규정에 따라, 제조 및 검사를 거쳐, 규격포장 된 후에 사용합니다.

남양주 약초원

  • 남양주 약초원 1
  • 남양주 약초원 2
  • 남양주 약초원 3
현재 재배중이거나 지배 예정인 약초
당귀 당귀 당귀는 산형과에 속한 다년생 초목으로, 뿌리를 가을 10월~11월에 채취하여, 건조한 후 약재로 쓰입니다. 한약 분류상 보혈약(補血藥)에 속하는 약재입니다.
황정 황정 황정은 백합과에 속한 다년생 초목인, 층층둥굴레의 뿌리입니다. 가을에 채취하여, 막걸리에 찐 후, 건조하여 약재로 쓰고 있습니다. 한약 분류상 보음약(補陰藥)에 속하는 약재입니다.
목과 목과 모과는 장미과에 속한 모과나무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입니다.
여름과 가을에 잘 익은 과실을 따서, 끓는 물에 외피가 회백색이 될 때까지 살짝 데쳤다가, 살짝 말려 쪼갠 후, 다시 건조하여 약재로 쓰고 있습니다.
한약 분류상 서근활락약(舒筋活絡藥)에 속하는 약재입니다.
방풍 방풍 방풍은 산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를 약재로 씁니다.
봄과 가을에 꽃대가 나오지 않았을 때 뿌리를 채취하여, 잔뿌리와 흙을 잘 제거한 후 건조하여 약재로 씁니다.
한약 분류상 발산풍한약(發散風寒藥)에 속하는 약재입니다.
구엽초 구엽초 구엽초는 매자나무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삼지구엽초의 전초 (뿌리를 제외한 풀 전체)를 약재로 씁니다.
여름과 가을 사이에 삼지구엽초의 지상부를 모두 채취하여 건조합니다.
한약 분류상 보양약(補陽藥)에 속하는 약재입니다.
익모초 익모초 익모초는 꿀풀과에 속한 일년생 또는 2년생 초본으로 익모초의 지상부를 건조하여 약재로 씁니다. 여름철에 잎과 줄기가 성숙하였으나, 아직 꽃이 피지 않았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약재로 씁니다.
한약 분류상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에 속하는 약재입니다.
소엽 소엽 소엽은 꿀풀과에 속한 일년생 초본인 차조기 또는 주름소엽의 잎을 건조한 것으로, 9월 상순경 잎이 무성하고, 화서(꽃차례)가 나오기 시작할 때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약재로 씁니다.
한약 분류상 발산풍한약(發散風寒藥)에 속하는 약재입니다.
곽향 곽향 곽향은 꿀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광곽향 또는 일년생 혹은 다년생초본인 곽향의 전초를 건조한 것입니다. 광곽향은 6-7월 사이에, 곽향은 6-7월의 개화시기와 10월에 채취하여 건조하여 약재로 씁니다.
한약 분류상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에 속하는 약재입니다.